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

 

@ 검찰, 삼바 분식회계 수사 재개 → 국민연금·삼성물산·삼성그룹 금융계열사·KCC 등 10여곳 압수수색

☞ 본질은 '삼성물산·제일모직 합병 → 삼바 회계변경 → 삼바 상장'으로 이어지는 이재용 경영권 승계 정조준

- 삼성물산·제일모직 합병의 '캐스팅 보트'를 쥔 국민연금이 찬성표를 던져 이 부회장의 부당승계 가능 판단

■ 오늘의 이슈

※ 한강 이남 아프리카돼지열병 첫 확진...차량 감염도 사정권 → 파주·연천 이어 3번째...나흘만에 다시 이동중지 명령

※ 9월 수출 1~10일까진 깜짝반등 했지만 결국 다시 마이너스 → 對中·반도체 수출 급감, 10개월 연속 마이너스 기록 전망

※ 정기예금 잔액(5대 시중은행 651조) 10분기 연속 증가 → 기업·가계 투자처 못찾고 불안심리 때문에 은행에만 맡겨놓고 보자는 것

▲ KB증권 보고서 "늙어가는 한국...4년내 제로금리될것" : 고령화·저성장에 국고채금리 ↓ 잠재성장률 2% 내외로 전망

※ 삼성, 차세대 디스플레이 13조 투자 "초격차 기술로 세계시장 선점"...내달 중순 아산 탕정서 발표 예정 (중앙 1면)

※ 현대차그룹, 20억불 투자해 앱티브(APTIV)와 보스턴에 40억달러 규모 자율주행합작법인 설립 → 2022년까지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 완료

- 지분투자 아닌 공동 개발로 원천기술 확보·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술력 '톱3' 앱티브와 시너지 → 자율주행시장 주도권 확보 목표

※ 당정, 가맹점주 경영 개선 대책 △직영점 1년이상 운영해야 가맹사업 허가 △프렌차이즈 광고·판촉행사, 점주 사전동의 필요 등

※ 당정청, 지자체 지침까지 바꿔 '복합쇼핑몰 규제' : 야당 반대로 법안 통과 안되자 훈령 고쳐 편법으로 규제 추진

※ 당정,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전원 구제추진 : 신창현의원 24일 대표발의, `구제기금` 통합 법안 마련, SK케미칼·애경산업 대상 집단손배소송 가능성

※ 여야 또 기업인 무더기 증인신청...국감때 `의원갑질` 예고 → 농축산위, 삼성·한화·신세계 고위급 임원 부르는데 합의...정무위선 올해도 이재용 신청

★ 성장금융 뉴스 브리핑 → PE·VC 운용사, 벤처·중소기업 뉴스 등 

■ 증시 및 경제 동향

① 코스피 2,091.70(▲ 0.18) ② 코스닥 645.01(▼ 4.06) ③ 환율 1,193.50원(▲ 5.00) ④ 유가(두바이) 61.51(▲ 0.10) ⑤ 금시세 58,134.04원(▲ 589.89)

▲ 헬릭스미스(코스닥 시총 2위) 황당한 임상 오류 → 3상서 신약물질·가짜약 혼용, K바이오에 또 초대형 악재(매경 1면)

▲ 9월 증시 반등 현상 재현 → 신용융자 한달새 5000억 늘어 8.7조(증가분 80% 코스닥)...하락땐 반대매매 뇌관 우려

▲ 증권사 목표주가 상향기업들이 전기차·5G·LNG 선박 업종에 집중 → 이들 기업에 대한 업황과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 상승

▲ 현대모비스, 3200억어치 자사주 매입 → 연말까지 130만주 매입, 625억어치는 소각 계획

▲ HDC가 보유 중인 삼양식품 주식 전량을 미래에셋대우에 블록딜로 매각 → 16.9% 947억원 현금화, 아시아나 인수전에 이어 '협업'

○ 셀트리온이 자체 개발한 '램시마SC' 유럽진출에 사실상 성공 → CHMP '판매승인 권고' 의견, 130여개국서 특허 출원 완료, 2038년까지 '피하주사' 독점

○ 한화그룹 7개 계열사 사장단 인사...전문성 갖춘 50대 대거 발탁 : 김연철 한화시스템 사장 승진, 7명 중 4명이 내부 출신 CEO

○ 손정의 비전펀드, 투자 기업 줄줄이 쪽박 → 기업가치 3분의 1 토막 위워크 CEO 경질 추진, 우버·슬랙·플립카트도 부진, 中 디디추싱은 대규모 적자

○ 국제결제은행(BIS) "중앙은행들 통화정책 여력 없다" 경고 → 경제 실제로 문제 생기면 금리인하로 막기 힘들어...마이너스 국공채 17조弗 전세계 GDP의 20% 규모

○ 집주인이 못 돌려준 전세금 1700억 : 주택도시보증공사가 대신 지급, 올해 760건 2년 반 만에 49배

○ 국제회계기준해석위원회(IFRIC) `가상통화는 화폐가 아닌 무형자산에 해당` 결론...ICO등 제도권진입 어려워질듯, 기재부 "소득세부과방안 검토"

■ 부동산 및 정책 동향

○ 주택법 시행령(분양가상한제 포함) 입법예고가 23일 종료 → 3400여개 넘는 반대의견 접수됐지만 국토부 법 개정 밀어붙인다는 분위기

▲ 서울아파트 증여 급증...8월 1681건 지난달보다 76% ↑ → 분양가상한제에 집 안팔고 증여(절세)로 우회, 양도세·보유세 부담도 한몫

○ 단독주택·아파트 공시가격 급등에 전국 노인 1만6000여 명 기초연금 자격 상실 전망 → 탈락자 동작·마포·성동구順

○ 상가-빌딩도 보유세 큰 폭 오를듯 : 국토부, 과표 현실화 곧 마무리...건물-땅 합친 산정가 46% 인상땐 보유세도 40% 넘게 증가 전망

○ 정부, 액상형 담배 세율 조정 검토 → 액상형 제세부담금 일반담배 절반·과세 형평성 고려해 세금 인상 가능성

○ 한국 1인 탄소배출량 세계 4위..."탈원전으로 더 커질것" 우려 → 年12.4t 배출 세계평균 2.5배, 원전 줄여서는 감축 불가능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