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
@ 치사율 100% 아프리카돼지열병(ASF) 파주서 첫 발생...3,950마리 살처분 → 일주일이 고비
- 지난 5월 북한 내 중국 접경지역에서 발병한 지 4개월 만에 국내 방역망이 뚫린 것...원인·감염경로 몰라 더 답답
☞ 백신·치료제 없어 심각..."사람은 감염 안돼" → 4~19일 잠복·발병땐 10일내 폐사, 주요 전파 요인은 음식물 쓰레기
- 돼지고기값(90%가 국산) 폭등 우려 → 확산여부·살처분 규모가 변수, '구제역 파동'때도 도매가 2배 ↑...단기간 도매가 상승은 불가피
▲ 발병 농가 198마리, 최근 열흘 인천·김포 도축장으로 반출 : 충남쪽 축산업 관계자들도 들러 이후 충남 농장 등 10곳 방문, 방역당국 '역추적'
■ 오늘의 이슈
※ 트럼프 "이란 향해 장전" → "전쟁 원치 않아" 오락가락 → 전면전 땐 국제유가 상승 불가피, 재선 도전에 악영향 우려 상황관리에 나선 것
- 美에너지 장관 "전략비축유 방출 언급하는 건 시기상조" → 트럼프 “방출 가능” 발언 부각되자 시장 회복력 들어 신중모드 선회
▲ "사우디 복구 6주 넘기면 유가 75弗 넘을 것" → 골드만삭스 복구 기간별 전망, FT "정상화 수개월 걸릴 수도"
※ '반면교사'가 되고 있는 마크롱 노동개혁 성과 △ 실업률 -8.5% 10년래 최저 △ 정규직 비율 54.7% 15년래 최고
- 노동규제 완화·인력채용 용이, 근로자 복지 간소화, 업종별 정규직전환 탄력적용, 법인세 33.3% → 25% 추진 등
☞ 탄력적이고 유연한 노동정책이 기업투자를 촉진하고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만든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
※ 세입자가 요구하면 전월세 2년 더 연장 → 당정, 계약갱신청구권 추진...도입 초기 전셋값 급등 우려(매경 1면)
※ 한국 WTO개도국 지위 포기 임박...20일 대외경제장관회의서 상정 → 트럼프 '데드라인'(10월 23일, 경제성장 이룬 국가 개도국 혜택 금지) 때문
- 미국과 통상분쟁 소지 사전 제거 목적 → 개도국 유지 실익 없어 대만 등 4개국 이미 포기 선언, 농민 반발에 '공익형 직불제' 등 당근책 검토
※ 한은 2분기 기업경영 분석(전년대비) → 매출액 -1.1%(전기·전자 -6.9%) 총자산증가율 하락, 차입금의존도 올라 안정성 `흔들`
☞ 성장 이끌고 일자리 만들어낼 기업들이 덩치는 줄고, 체질은 갈수록 악화 → 심각한 것는 매출액 증가율 2분기 연속 마이너스 기록
※ 은행 주담대 최저금리, 모두 年 2%대로 하락 → 금리 결정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가 떨어졌기 때문
※ '8K TV 전쟁' ▲ LG "삼성 QLED 규격미달...소비자 기만" → OLED - QLED 화질비교 "글로벌 시장서 문제 제기할 것"
▲ 삼성 "화질선명도가 평가기준 아냐" 반격 → 같은날 '8K 화질 설명회' 열고 반박, LG제품과 비교하며 화질 강조
※ 1억투자해 6,000만원 손해 본 우리은행 DLF(독일 국채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) → 원금 손실률 60.1% 확정, 전체 131억 중 78억 손실
※ WSJ "아마존, 검색 알고리즘 조작"...내부관련자 증언 보도 "자사상품 판매 늘리려 압력", 美·유럽 반독점조사 영향 촉각
★ 성장금융 뉴스 브리핑 → PE·VC 운용사, 벤처·중소기업 뉴스 등
■ 증시 및 경제 동향
① 코스피 2,062.33(▲ 0.11) ② 코스닥 644.28(▲ 5.69) ③ 환율 1,1900.00원(▲ 6.00) ④ 유가(두바이) 63.12(▲ 4.54) ⑤ 금시세 57,246.96원(▲ 97.17)
▲ 돼지열병 수혜주 찾는 투심...닭고기·사료·방역업체 급등 → 관련업체 12개 종목 상한가
○ LGD,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익 악화와 인건비 부담으로 5,000명 이상의 대규모 인력 구조 조정 예상
○ 금융위, 롯데카드·손보 내달2일 매각 승인 → 롯데 금산분리 위반 직전에 대주주 변경안 승인하기로
○ 경찰, SK이노 압수수색 → LG화학, 5월 기술유출혐의로 고소...SK이노 "특정 인력 뽑은적 없다"
○ LCC(저비용항공사) 이스타항공 '비상경영'(무급휴직 시행)돌입 → 최종구사장 "창사이래 최대위기"....구조조정 신호탄 분석
○ 기업 명운 가르는 평판 → 소비자 83% "제품 살 때 사회적 평판 고려" 삼성은 휴대폰, LG는 가전에서 경쟁사 앞서(한경 1면)
○ 민노총, 전국 단위의 보험설계사 노조설립 추진 → 설립 허가되면 단체교섭권 보장...보험사, 비용 증가에 감원 우려도 제기
○ 청년10명 중 2명은 놀고 먹는 '니트족'...매년 경제적 손실 49조4000억 달해 →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고 고학력일수록 비중 높아
■ 부동산 및 정책 동향
○ 수도권 청약시장 과열로 당첨 가점 고공행진 → 송파시그니처 59㎡ 최저 69점 등 가점 60점은 넘어야 당첨권 진입
○ 콘텐츠 산업 3대 혁신전략 공개 → 모험투자펀드 4500억 조성, VR·AR·MR 등 실검콘텐츠 육성...문 대통령 "혁신적 기술 뒷받침"
○ 특혜 논란 불거진 ‘폐교 연금’...1996~2009년 임용 교직원 대상 → 수급자 285명 중 3050이 266명, 평균 수령액도 국민연금 4.5배
○ 서울시 인구 1000만` 붕괴 눈앞(작년 1004만명)...65세 이상 인구 14% 넘어 고령사회 첫 진입 → 인구감소 주요 원인은 '높은 집값'
'Old > 팩트파인더 경제。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 (0) | 2019.09.23 |
---|---|
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 (0) | 2019.09.19 |
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 (0) | 2019.09.17 |
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 (0) | 2019.09.11 |
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 (0) | 2019.09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