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
@ 무너지는 자동차 부품사 → 매출 7조 증발, 1차 부품업체 67개사 폐업
- 영업이익률 4년만에 3.4→1.9%로 추락·인건비는 25% 상승...완성차 판매부진에 최저임금 겹쳐 이익 못내는 '좀비기업' 전락
☞ 車부품사 10곳 중 4곳 "해외이전 검토" → 최대 경영 애로는 '인건비 부담' (한경 1면)
▲ 부품업체 "車부품 회사란 이유로 은행이 대출 거부...해외 수주 포기" → 금융권의 홀대에 불만 "대출 만기 연장 등 지원 꼭 필요"
▲ 만도 구조조정...중소 차부품사 "최후발악 심정, 빚내 설비투자" → 부품 단순한 전기차 확산도 영향, 중소 업체 변화 대비할 여력 없어(중앙 B3)
■ 오늘의 이슈
※ 문 대통령 만남 손정의 "한국 집중할건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AI" → DJ 땐 초고속 인터넷 육성 제안
- 손정의, 총수들과 150분 회동...日수출규제 관련 "많은 대화했다" → 이재용과는 '승용차 동승 환담', 4차 산업혁명 분야 협력 방안 논의 관측
▲ 차상균 서울대 빅데이터연구원장, 올 4차례 해외 방문에도 AI인재 영입 실패 → 데이터대학원 기금 30억, MIT는 단과대 한곳에 1조원
※ EU, ILO 핵심협약 비준 안한 한국에 "전문가 패널 소집" 요청 → FTA 노동 조건 위반국에 첫 본보기
- FTA 분쟁해결 마지막 절차 → ILO 핵심협약 4개 비준 목표 이행 불확실 판단한 듯...한국투자 유보·통관 강화 가능성, 유럽진출 기업들 제재 우려
※ 영세근로자들(10인 미만 사업) 되레 "최저임금 동결해야" 44.4%...대기업 근로자는 "동결" 33%(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 조사)
▲ 주 36시간 이상 일자리, 2년새 20만개 줄어 → 박기성 교수 5월 취업자 분석, 단시간 근로자만 늘어나는 추세
※ 2분기 '어닝쇼크' 예고...상장사 영업익 - 34.1% 전망, 반도체·석화·철강 등 주력업종 수출급감에 실적 악화
※ 서울 아파트 매매가 34주만에 반등 → 이달 첫째주 전주대비 0.02% ↑ 동대문·노원구까지 신고가 거래, 전세가도 36주만에 상승
★ 성장금융 뉴스 브리핑 → PE·VC 운용사, 벤처·중소기업 뉴스 등
■ 증시·경제·기업 동향
① 코스피 2,108.73(▲ 12.71) ② 코스닥 691.27(▼ 1.77) ③ 환율 1,169.00원(▼ 1.50) ④ 유가 62.25(▲ 1.22) ⑤ 금시세 53,123.27원(▼ 478.06)
▲ 외국인, 국내 상장채권 투자액 올 들어 사상 최고치 경신 → 5월 7.2조 6월 5.3조...글로벌 금리인하 추세로 채권투자 좋은 환경 조성
▲ 한미약품 장중 하한가로 급락 → 1兆 기술 수출 권리반환 '쇼크'...증권가 "다른 신약개발에 악영향"
○ 5월 경상수지 흑자 전환, 상품수지 흑자는 1년만에 반토막 : 수출이 수입보다 더 큰 폭으로 줄면서 상품수지 흑자를 더 많이 갉아 먹은 것
○ 고액 자산가 10명 중 6명 "하반기 달러자산 더 늘릴 것" → 달러채권 등 안전자산 선호 ↑ (삼성증권 설문 조사)
○ 트럼프 "中·EU 환율 조작, 맞대응할 것" → 중국과 무역협상 재개 앞두고 '환율 전쟁' 경고, 5월 무역적자 8.4% 증가하자 Fed에 또 기준금리 인하 압박
○ 글로벌 IT 기업들 `脫중국` 러시 → HP·델·MS·구글·아마존·소니 등...미중 갈등 불확실성에 중국 내 생산비용 증가, 동남아로 속속 이전 추진
○ KEB하나은행, 내년부터 수시채용으로 전환 : 은행권 첫 정기 공채 폐지, 채용연계형 인턴십 병행키로 (한경 1면)
○ 통신사에 갑질 애플코리아 "시정하겠다" : 광고비·수리비용 떠넘겨 조사 '지위 남용' 심의 동의의결 신청...공저위, 의견수렴 뒤 확정 방침
■ 부동산·정책 동향
○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시행 1년6개월 → 강남3구 사업추진 줄줄이 포기(4건만 추진)...공급부족 불러 가격상승 유발 우려
○ 국토부·서울시, 후분양 택한 삼성동 '상아 2차' 특별점검 → 8일~19일 조합 운영 실태 현장조사
○ 민노총·한노총 집회 비중 3년새 5배 ↑...3년전 8%에서 문재인 정부서 급증해 올 42% (매경 1면)
○ 홍남기 '52시간 보완책 마련' △탄력근로 시행 전 계도기간 부여 △특별연장근로 개선·재량근로제 대상 확대 등
○ 국토부 '택시업계·플랫폼 상생방안' △모빌리티업체(타다) 운행대수만큼 면허 사거나 대여 △전체 운송사업자 면허 총량 관리 △공유업체 '별도 면허' 부여
○ "여름 전력대란 없다"면서...원전계획은 쏙 뺀 정부 : 작년에는 몇기 가동하는지 설명...여름철 원전 의존하는 현실 감추려했나?
'Old > 팩트파인더 경제。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 (0) | 2019.07.09 |
---|---|
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 (0) | 2019.07.08 |
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 (0) | 2019.07.04 |
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 (0) | 2019.07.03 |
[팩트파인더 경제] factfinder.co.kr (0) | 2019.07.02 |